★ 산행사진

금산(錦山) 산행

청사초롱(안동) 2010. 5. 10. 14:06

1. 산행일자 : 2010.  05.  09.(일)

2. 산행장소 : 금산(錦山, 681.0m) → 최근 701.0m

3. 소 재 지  : 경남 남해

4. 참석인원 : 산타, 산초딩, 콩콩이지, 청사초롱 (4명) 

5. 산행거리 : 약 ?㎞ (02:46 소요) 

6. 산행로 및 상세 시각    

    금산 주차장~쌍홍문~제석봉~상사바위~단군성전~금산~보리암~쌍홍문~금산 주차장 

주요 지점

거리

도착

출발

소요
시간

휴식

    

 금산 주차장

 

 

13:54

 

 

 금산2.2, 보리암1.9,도선바위1.1

 이정목

1.0

14:16

14:21

00:22

00:05

 금산1.2, 쌍홍문0.6, 입구1.0

 이정목(쌍홍문)

0.6

14:37

 

00:16

 

 금산 0.6, 입구 1.6

 이정목(갈림길)

 

14:41

 

00:04

 

 단군성전0.3,보리암0.3,도선바위0.8

 일월봉 안내표지판

 

14:48

 

00:07

 

 

 제석봉

 

14:50

14:55

00:02

00:05

 

 흔들바위

 

14:56

 

00:01

 

 

 이정목(갈림길)

 

14:58

 

00:02

 

 사바위0.4,단군성전0.1,흔들바위0.1

 상사바위

 

15:06

15:28

00:08

00:22

 

 이정목(갈림길)

 

15:36

 

00:08

 

 상사바위0.4,단군성전0.1,흔들바위0.1

 단군성전

 

15:37

15:42

00:01

00:05

 

 금산  

 

15:49

15:54

00:07

00:05

 

 보리암

 

16:02

16:07

00:08

00:05

 

 이정목(갈림길)

 

16:10

 

00:03

 

 단군성전0.3,보리암0.3,도선바위0.8

 이정목

 

16:23

 

00:13

 

 

 금산 주차장

 

16:40

 

00:17

 

 

    

1.6

 

 

01:59

00:47

 02:46

7. 교통(남해군청)

    -  남해터미널에서 상주행 군내버스 이용 금산 입구(금산 주차장)에서 하차.

  

8. 산행지도

   - 한반도의산하

   

9. 산행사진

    -  금산 38경(1~10경, 11~20경, 21~30경, 31~38경)

번호

이름

한자명

위치

1

망대

望臺

 정상, 고려시대때부터 유래한 최남단 봉수대가 있다

2

문장암

文章巖

 망대를 오르는 계단을 마주하고 있는 정상 길목을 지키는 바위

3

대장봉

大將峰

 보리암 바로 뒤에 우뚝 솟은 큰 바위

4

형리암

刑吏巖

 대장봉을 향해 마치 허리 굽혀 절하는 모양의 바위

5

탑대

塔臺

 천인단애 위에 보리암전 삼층석탑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탑이 서 있어 이 절벽을 탑대라 한다

6

천구암

天鳩巖

 탑대 바로 북쪽에 있는 바위. 비둘기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이름

7

이태조기단

李太祖祈壇

 탑대에서 바로 건너다 보이는 삼불암 아래에 있음. 

8

가사굴

袈裟窟

 탑대 동쪽에 있는 바위굴

9

삼불암

三佛巖

 조선태조기단 왼쪽 깎아지른 높은 곳에 있는 세 개의 바위

10

천계암

天鷄巖

 조선태조기단 뒷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닭 모양의 바위

11

천마암

 

 망대 아래 동쪽의 두꺼비 모양의 바위

12

만장대

萬丈臺 

 쌍홍문 오른쪽에 위치하며 탑대를 이루고 있는 단애

13

음성굴

音聲窟

 만장대 바로 북쪽, 높이 2m, 길이 5m 정도 되는 조그만 바위굴

14

용굴

龍窟

 음성굴 오른편에 50m의 길고 넓은 굴

15

쌍홍문

雙虹門

 상주 방면에서 금산 상봉에 이르는 암벽에 두 개의 둥글고 큰 구멍이 문 모양으로 나란히 있는 돌문

16

사선대

四仙臺

 쌍홍문에서 바로 아래 오른쪽에 서 있는 네 사람 모습으로 생긴 바위

17

백명굴

百名窟

 사선대 북쪽에 100명은 넉넉히 앉을 수 있다는 굴

18

천구봉

天狗峰

 일월봉 아래 쪽에 있는 바위로 마치 개의 형상을 하고 있는 바위

19

제석봉

帝釋峰

 천구암 왼쪽에 있는 바위

20

좌선대

坐禪臺

 제석봉 왼쪽에 위치. 신라의 고승들이 좌선하던 자리라는 전설이 있다

21

삼사기단

三師基壇

 좌선대 아래쪽에 있다. 위 고승들이 기단을 쌓고 기도를 올린 곳

22

저두암

猪頭巖

 금산산장 바로 뒤에 있는 바위. 코끼리바위 옆에 위치

23

촉대봉

燭臺峰

 향로봉 옆에 있는 촛대 모양의 작은 바위

24

향로봉

香爐峰

 삼사기단 왼편에 있음. 향로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25

사자암

獅子巖

 좌선대에서 상사암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사자 모양의 큰 바위

26

팔선대

八仙臺

 상사바위 입구 오른쪽에 있는 여덟 개의 바위

27

상사암

想思巖

 바위 위에서 보는 남해 다도해의 풍광은 천하일품

28

구정암

九井巖

 상사암에 이어진 바위에 아홉 개의 구멍이 뚫려있는 바위

29

감로수

甘露水

 상사암에서 조금 남쪽에 있는데 바위 밑에서 새어 나와 고이는 물

30

농주암

弄珠巖 

 용과 호랑이가 구슬놀이를 하는 듯한 바위. 대장암 옆에 있다

31

화엄봉

華嚴峰

 대장봉과 농주암 사이의 왼쪽에 위치. 바위 모양이 화엄 모양이라고 해서 유래

32

일월봉

日月峰

 화엄봉 왼쪽에 세 개의 바위가 층암절벽을 이루고 있는 바위

33

흔들바위

搖巖

 일월봉 왼쪽, 제석봉 뒤쪽 맞은편에 있다

34

부소암

扶蘇巖

 진시황의 아들 부소가 이 곳에서 귀양살이를 하고 갔다는 전설이 있는 바위

35

상주리석각

상주리石刻

 양아리 두모에서 부소암으로 오르는 골짜기 큰 바위에 새겨진 고문자

36

세존도

世尊島

 상주 은모래 Beach에서 40km나 떨어져 있는 섬

37

노인성

老人星

 춘분, 추분절의 전후 3일, 7일 동안 남해에서 가장 잘 보이는 별

38

일출경

日出景

 다도해에서 떠오르는 일출을 말함(탑대, 망대, 상사암, 쌍홍문)

 

▲ 제석봉에서 본 보리암과 대장암(금산3경). 좌측 우뚝 솟은 바위가 대장암이고, 그 앞에 대장암을 향해 머리를 숙이고 있는 바위가 형리암(금산4경)이다. 대장암 아래 천혜의 요새에 지어진 암자가 보리암이다. 

 

▲ 금산 주차장에서 올려다 본 금산. 중앙부에 튀어나온 듯한 바위가 상사암(금산27경). 

 

▲ 금산주차장에서 정상까지의 거리가 2.2㎞. 빠른 걸음이라면 1시간 내에 도착할 수 있는 곳이다. 

 

▲ 쌍홍문 좌측에 서 있는 사선대(금산16경). 

 

▲ 쌍홍문(금산 18경). 

 

▲ 가까이서 담은 쌍홍문. 

 

▲ 쌍홍문을 지키고 있는 장군암. 

 

 

 

 

 

▲ 쌍홍문을 지나면 단군성전과 보리암으로 오르는 길이 갈리게 된다. 

 

▲ 쌍홍문을 지나 일월봉으로 오르는 길에 올려다 본 대장암과 보리암이다. 

 

▲ 대장암(금산3경, 우)과 화엄봉(금산31경). 

 

▲ 상주면소재지와 상주 은모래해수욕장이 시원스레 한 눈에 내려다 보인다. 

 

▲ 오밀조밀 수놓은 다도해가 점점 금산의 매력에 빠져들게 하고.... 

 

▲ 일월봉인지 제석봉인지..... 

 

▲ 상사암(금산27경, 우측)과 제석봉(금산19경). 

 

 

 

▲ 화엄봉인 듯.... 명칭을 모르고 마구잡이 찍은 탓에.... 

 

 

▲ 당겨 본 보리암. 

 

▲ 상사암의 웅장한 모습. 금산 바위군 중 가장 커다란 바위라는 군요.

 

 

▲ 코끼리처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코끼리바위 인 듯하다. 

 

▲ 흔들바위(금산33경). 

 

▲ 능선에 올라서면 상사암과 단군성전, 보리암으로 길이 갈리게 된다. 

 

 

 

▲ 촉대봉(금산23경, 좌)과 향로봉(금산24경). 

 

▲ 당겨 본 촉대봉과 향로봉. 

 

▲ 갖가지 모양을 한 바위가 모여 상사암을 이루고 있다. 

 

▲ 상사암 우측 팔선대(금산26경)의 모습이다. 

 

▲ 뒷쪽에서 본 향로봉. 

 

 

▲ 우짜 남도 끝에 이런 바위산을 만들어 놓았을까?  

 

▲ 상사암에서 내려다 본 상주면 소재지.  

 

▲ 팔선대. 

 

▲ 상사암을 이루고 있는 바위군. 

 

▲ 단군성전을 감싸고 있는 꽃무리들의 향연. 

 

▲ 단군성전. 

 

 

 

 

▲ 금산 정상표지석. 

 

▲ 망대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천마암(금산11경)인 듯.

 

▲ 보리암 뒷편에 우뚝 서있는 대장암. 우측으로 상사암이 보인다. 

 

▲ 문장암(금산 5경). 

 

▲ 주세붕 선생님이 새긴 글이라고 전한단다. 

 

 

 

▲  해수관음상 좌측으로 보이는 것은 화엄봉이고 우측은 대장봉.

 

 

 

 

▲ 음성굴(금산10경). 하단부에 자그마한 구멍이 음성굴.  

 

▲ 상주 은모래 해수욕장의 풍경. 모래가 너무나 곱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