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행일자 : 2008. 12. 13. (토)
2. 산행장소 : 계룡산(鷄龍山, 845.1m)
3. 소 재 지 : 충남 공주, 계룡, 논산
4. 참석인원 : 천수회원 3명
5. 산행거리 : 약 13.5㎞ (약 06:14 소요)
6. 산행로 및 상세 시각
병사골입구~장군봉~남매탑~삼불봉~관음봉~동학사~병사골입구
주요 지점 |
거리 |
도착 |
출발 |
소요 |
휴식 |
비 고 | |
병사골 입구 |
10:21 |
||||||
10:42 |
10:54 |
00:21 |
00:12 |
휴식 겸 간식 | |||
이정목 |
10:56 |
|
00:02 |
장군봉 0.5, 병사골 0.5 | |||
장군봉 |
1.0 |
11:14 |
11:18 |
00:18 |
00:04 |
||
이정목 |
0.3 |
11:27 |
|
00:09 |
남매탑 3.9, 병사골 1.3 | ||
이정목 |
1.0 |
11:59 |
|
00:32 |
남매탑 2.9, 병사골 2.3 | ||
갓바위 삼거리(이정목) |
0.3 |
12:06 |
|
00:07 |
남매탑2.6,장군봉1.6,지석골1.5 | ||
이정목 |
1.0 |
12:30 |
|
00:24 |
남매탑 1.6, 장군봉 2.6 | ||
12:39 |
13:05 |
00:09 |
00:26 |
중식 | |||
이정목 |
0.5 |
13:18 |
|
00:13 |
남매탑 1.1, 장군봉 3.1 | ||
상신갈림길 |
0.5 |
13:24 |
|
00:06 |
동학사주차장2.9,남매탑0.6,상신3.0 | ||
남매탑 |
0.6 |
13:32 |
13:39 |
00:08 |
00:07 |
삼불봉 0.5, 동학사 1.7 | |
삼불봉 |
0.5 |
13:56 |
13:58 |
00:17 |
00:02 |
||
이정목 |
0.8 |
14:20 |
|
00:22 |
관음봉 0.8, 삼불봉 0.8 | ||
관음봉 |
0.8 |
14:42 |
14:50 |
00:22 |
00:08 |
||
이정목 |
0.2 |
14:53 |
|
00:03 |
관음봉0.2,은선폭포0.8,연천봉0.9 | ||
이정목 |
0.8 |
15:13 |
|
00:20 |
동학사 1.3, 관음봉 1.0 | ||
오성대 |
1.0 |
15:31 |
|
00:18 |
동학사0.6,관음봉2.0,은선폭포1.0 | ||
동학사 |
0.6 |
15:36 |
15:47 |
00:05 |
00:11 |
||
세진정 |
0.1 |
15:48 |
|
00:01 |
|||
탐방지원센터 |
15:59 |
|
00:11 |
||||
동학사주차장 |
1.5 |
16:08 |
|
00:09 |
|||
병사골 입구 | 2.0 |
16:35 |
|
00:27 |
|||
합 계 |
13.5 |
|
|
05:04 |
01:10 |
06:14 |
※ 동학사주차장에서 병사골입구까지 2.0㎞ 잡았으나 실질적으로 더 먼거리임(빠른 걸음으로 27분 소요).
▣ 계룡산(鷄龍山)
계룡산(鷄龍山)은 충남 공주시, 계룡시, 논산시 그리고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높이 845m의 산으로 1968년 12월 31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 되었다.
▲ 오늘의 산행 들머니는 병사골매표소이다. 병사골 매표소는 대전에서 공주방면의 32번 국도를 따라가다 삽재를 넘어 박정자 삼거리에서 논산방면으로 좌회전한 다음 곧 바로 우회전하여야 한다. 이곳이 붐비는 이유는 계룡산 종주산행을 할 수 있다는 점과 강변 소로에 주차하여 주차비와 입장료를 내지 않는 점이라고 보면 된다.
강건너 자그마한 오두막이 병사골매표소이고 우측 하얗개 보이는 능선을 따라 뒤쪽 장군봉(500m)에 오르게 된다. 병사골매표소에서 장군봉까지는 1.0㎞, 소요시간은 넉넉잡아 1시간이면 충분하다.
▲ 오늘의 산행코스는 병사골매표소~남매탑~관음봉~은선폭포~동학사~병사골입구.
▲ 장군봉으로 오르다 내려다 본 모습. 저 아래 삼거리가 박정자 삼거리이고, 강변에 주차되어 있는 곳이 병사골을 들머리로 하는 산행객들의 주차장 역활을 하는 곳임.
▲ 국립공원이라 이정목과 안내표지가 잘 되어 있어 길을 잃어버릴 염려는 싹 날려버리세요.
▲ 장군봉에서 본 천황봉(중앙 시설물 보이는 곳)과 우측 끝의 삼불봉.
▲ 갓바위 삼거리.
▲ 큰배재 삼거리. 요기서 약 100여미터 저 진행하면 상신리로 내려가는 갈림길이 나옵니다.
▲ 남매탑.
- 남매탑은 청량사지쌍탑으로 청량사지 5층 석탑(보물 제1284호)과 청량사지 7층 석탑(보물 제1285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남매탑의 전설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안내표지판. 이글을 읽고나니 불현듯 아래 글이 생각나네요(고등학교 한문책에 나왔던 글이라서 외우고 있음).
- 積善之家 必有餘慶(적선지가 필유여경), 積不善之家 必有餘殃(적불선지가 필유여앙)
▲ 남매탑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상원암.
▲ 삼불봉 0.5㎞, 관음봉 2.1㎞ 남았습니다.
▲ 남매탑 중건 기념으로 세운 탑인 것 같습니다.
▲ 삼불봉 오르는 마지막 계단.
▲ 삼불봉에서 오늘 걸어온 길을 조망해 봅니다. 장군봉이 이젠 아스라이 멀어져 있습니다.
▲ 천황봉이나 동학사에서 보면 마치 세명의 부처님 모습을 닮아다고하여 붙여진 삼불봉. 높이는 정확히 775.5m
▲ 역광 탓에 천황봉과 관음봉이 흐려서 잘 보이질 않네요.
▲ 자연성능을 따라 오다 전망대에서 본 삼불봉의 모습.
▲ 지금은 갈 수 없는 곳인 황적봉. 50만원 내면 갈 수 있삼.....
▲ 삼불봉에서 관음봉으로 가는 자연성능 능선.
▲ 삼불봉과 관음봉의 중간 지점.
▲ 관음봉 직전의 마지막 오르막.
▲ 관음봉 표지석. 계룡산 천황봉은 통제지역이라 이곳에서 정상에 오른 마음을 대신 합니다. 용문산처럼 산행객들을 위해 정상부 만큼은 해제해 주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합니다. 꿈은 이루어진다!
▲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곳 계룡산 천황봉.
▲ 관음봉에선 삼불봉과 장군봉 등 오늘 산행로를 한눈에 볼 수 있어 넘 좋습니다.
▲ 아쉬움을 뒤로 하고 이제는 하산하여야 할 때 관음봉에서 약 200m 내려오면 연천봉(논산)으로 가는 길과 은선폭포(동학사 방향) 가는 길로 갈립니다.
▲ 전국의 산행로가 모두 이런 모습으로 바뀌지 않을까? 지난 번 지리산 산행때 장터목에서 세석으로 넘어가는 길도 이런 모습으로 만들고 있던데.... 자연의 모습을 보존하자면 이 방법 밖에는 없는 것일까요?
▲ 쌀개봉. 디딜방아의 쌀개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죠.
▲ 은선폭포에는 물한방울 떨어지지 않고, 이곳은 오성대라고 하는데 안내표지판 하나 없어 오성대가 어떤 곳인지 알 수 없습니다. 인터넷을 뒤졌더니 글씨 다섯명의 성인이 나올만한 명당자리라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나....
▲ 동학사 대웅전.
▲ 동학사 경내의 모습.
▲ 동학사 안내표지판.
▲ 세진정 삼거리.
▲ 공원사무소에 붙여져 있는 것을 찍은 것.
▲ 시간이 틀려서 그런 것일까요? 아님 동학사 미워서 그런 것일까요? 동학사에서 출발하는 시간표만 훼손되어 있어 이런 맘이 들었습니다.
▲ 학봉리 부근에서 본 장군봉의 모습. 이제 장장(?) 6시간의 산행을 마무리 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계룡산 정기를 흠뻑 받았으니 기축년에는 하는 일이 모두 만사형통 될 듯.... ㅋㅋ
'★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자령(仙子嶺) 산행사진 (0) | 2008.12.28 |
---|---|
천지갑산~연점산 雪산행사진 (0) | 2008.12.21 |
가리산(加里山) 산행사진 (0) | 2008.12.07 |
소백산(小白山) 산행사진 (0) | 2008.11.29 |
소금산(小錦山)~간현봉(艮峴峰) 산행사진 (0) | 2008.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