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산~선석산~비룡산 산행
1. 산행일자 : 2011. 08. 11.(목)
2. 산행장소 : 영암산(鈴岩山, x784m) ~ 선석산(禪石山, △742m(742.4m) ~ 비룡산(飛龍山, x578m(578.2m)
3. 소 재 지 : 영암산(경북 김천, 성주, 칠곡), 선석산(칠곡, 성주), 비룡산(칠곡)
4. 참석인원 : 청사초롱 (1명)
5. 산행거리 : 약 ?㎞ (06:10 소요)
6. 산행거리 및 상세시각
승오1리버스정류장~영암산공룡능선~영암산~선석산~비룡산~두만지~약목면 버스정류장(시외버스 정류장 겸)
주요 지점 | 거리 | 도착 | 출발 | 소요 시간 |
휴식 | 비 고 | |
승오1리 버스정류장 | 11:15 | ||||||
보손지 | 11:31 | 00:16 | 영암산 2.4(공룡능선), 2.8(계곡) | ||||
임도 | 11:51 | 00:20 | 영암산 1.5, 보손지 0.9 | ||||
휴식 | 12:16 | 12:27 | 00:25 | 00:11 | |||
영암산(중식) | 13:16 | 13:42 | 00:49 | 00:26 | |||
이정목 | 14:06 | 00:24 | 서진(선석)산 1.7, 영암산 1.1, 보손지 2.2 | ||||
선석산 | 14:42 | 14:53 | 00:36 | 00:11 | 비룡산 2.5, 영암산 2.8, 시묘산 3.7 | ||
이정목 | 15:20 | 00:27 | 비룡산 1.1, 선석산 1.4 | ||||
돌탑 | 15:40 | 00:20 | 구룡산 3.92, 도래기재 1.62 | ||||
비룡산 | 15:43 | 15:54 | 00:03 | 00:11 | 남계리(두만지) 1.3, 각산리(대흥사) 1.5, 남계리(구화사) 0.85 | ||
갈림길(이정목) | 16:03 | 16:11 | 00:09 | 00:08 | 배시기 2.14, 두만지 0.82, 비룡산 0.38 | ||
이정목 | 16:29 | 00:18 | 비룡산 1.3 | ||||
휴식(세족) | 16:34 | 16:46 | 00:05 | 00:12 | |||
두만지 | 16:55 | 00:09 | |||||
남계교 | 17:20 | 00:25 | |||||
약목 버스정류장 | 17:24 | 00:04 | |||||
합 계 | 04:50 | 01:19 | 06:09 |
7. 교통
◆ 승오리(미타암 입구) 방면
☞ 구미역발 지경리행(62번) 승차하여 승오1리 버스정류장에서 하차(구미시외버스터미널 경유함)
구미시청 : http://bis.gumi.go.kr/GCBIS/web/page/web002_01_1.do
☞ 06:10(07:00), 10:10(11:05), 15:03(16:00), 18:10(19:10)
◆ 선석사 방면
☞ 성주발 인촌행 이용
◆ 월간산 : http://san.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6/19/2008061901264_3.html
☞ 신거리고개(월명성모의집)는 김천(공용버스터미널 054-432-7600)에서 성주를 오가는 시외버스(1일 12회 운행, 1시간 간격)를 이용하면 된다. 대구 북부시외버스정류장(053-357-1851~3)에서 약목을 경유하는 시외버스가 06:30~22:30까지 수시로 운행되고 있다.
☞ 성주(공용버스정류장 054-933-1208)에서 1일 5회(06:40, 10:10, 12:00, 17:00, 19:40) 운행하는 인촌행 군내버스가 있다. 선석 마을에서 성주로 나오는 버스 시각은 성주발 버스시각에 30분을 더하면 된다.
8. 산행지도
http://cafe.daum.net/K.San?t__nil_cafemy=item
월간산 : http://san.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6/19/2008061901264.html
영암산(성주) : http://sjmelon.go.kr/tour/tour/mou03_01.jsp?site_code=tour&lan_code=kor&mnu_uid=784
영암산(칠곡) : http://tour.chilgok.go.kr/01sights/01_04.php?pT_idx=4
선석산(성주) : http://sjmelon.go.kr/tour/tour/mou04_01.jsp?site_code=tour&lan_code=kor&mnu_uid=785
선석산(칠곡) : http://tour.chilgok.go.kr/01sights/01_04_02.php?pT_idx=5
비룡산(칠곡) : http://tour.chilgok.go.kr/01sights/01_04_03.php?pT_idx=6
9. 산행사진
▲ 오늘의 산행지 영암산. 보손리에서 올려다 본 모습입니다.
▲ 좌측 정면으로 내려온 능선이 산행로이며 8부 능선에 보이는 돌들이 공룡능선입니다.
▲ 승오1리 버스정류장. 62번 버스를 타고 올 경우 이곳에서 하차하면 됩니다.
▲ 좌측 미타암이 영암산 산행의 들머리입니다.
▲ 건너편은 금오산입니다. 정상부는 운무로 가려져 있네요.
▲ 미타암에서 보손지로 오르는 길은 큰길을 따라 가면 됩니다. 보손지로 가다가 본 오늘의 산행로(좌측 능선)입니다.
▲ 좌측이 보손지. 여기서 직진하면 영암산까지 2.8㎞, 우측 능선으로 오르면 2.4㎞ 입니다.
▲ 보손지 갈림길의 이정목.
▲ 20여분을 용쓰며 오르자 임도가 나타납니다. 임도까지 0.9㎞이며 이제 남은 거리는 1.5㎞.
▲ 임도
▲ 임도에서 또 20분 정도 오르다 산행로에서 우측으로 살짝 비켜나면 북삼읍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멀리 고속철도도 보입니다.
▲ 좌측 금오산
▲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작답니다.
▲ 첫번째 로프. 우측으로 우회로가 있습니다만 로프를 타고 직등합니다.
▲ 관악산 정상석과 유사하여 담은 것입니다.
▲ 공룡능선을 오르며 올려다 본 영암산. 좌측이 영암산 정상.
▲ 공룡능선 상에서의 뒤돌아 본 풍경.
▲ 생각보다 암릉의 모습은 아니지만 즐길만은 하더군요. 하지만 여름 산행지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더위 먹어 쓰러지기 직전. ㅋㅋㅋ
▲ 영암산과 마주보는 선석산(누진산). 선석산에서 좌측으로 흘러내린 끝봉이 시묘산.
▲ 금오산 정상은 아직도 운무와 전쟁중......
▲ 두번째 로프가 설치된 곳입니다. 우측에 하얗게 늘어뜨려진 것이 로프.
▲ 위에서 내려다 본 영암산 공룡능선.
▲ 영암산 북봉에서 남봉을 본 모습. 북봉은 지형도상으로 영암산 정상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조망이 없어 남봉이 실질적인 정상 역활을 하고 있다.
▲ 영암산 남봉의 모습.
▲ 영암산 남봉에서 본 영암산 북봉과 건너편의 금오산.
▲ 선석산.
▲ 성주군 초전면 풍경
▲ 황악산 등 백두대간은 운무로 잘 보이지 않습니다. 마지막의 희미한 능선.
▲ 가야할 선석산
▲ 영암산에서 선석산으로 내려가는 곳은 계단 3곳과 로프가 1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 로프가 설치된 곳.
▲ 이정목이 간간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 선석산 정상의 이정목.
▲ 선석산 정상부. 최근 세워진 선석산 정상과 예전에 만들어진 누진산 정상석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 용바위.
▲ 용바위에서 내려다 본 전경. 선석사와 세종대왕자태실이 있는 곳이다.
※ 세종대왕자태실 : 수양대군을 비롯한 세종대왕의 적서 18왕자와 왕손 단종의 태를 안장한 곳으로 현재 19기가 안장되어 있으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태실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다.
▲ 의자 모습을 하고 있는 바위.
▲ 태봉바위.
▲ 태봉바위에서의 풍경.
▲ 비룡산 오르기 직전의 돌탑.
▲ 돌탑과 우측의 선석산.
▲ 비룡산에서의 금오산과 북삼읍.
▲ 비룡산에서의 선석산과 금오산.
▲ 갈림길.
▲ 갈림길 아래의 샘터. 샘이라고는 할 수 없고 그냥 계곡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나을 듯.....
▲ 남계리(두만지)로 하산 중의 시묘산
▲ 두만지와 신유 장군의 유적지.
▲ 두만지에서의 선석산.
▲ 비룡산과 우측의 선석산.
▲ 약목면 시외버스 정류장 겸 시내버스 정류장. 시외버스 시간표입니다. 시내버스 시간, 노선은 모르니 묻지 말라고 쓰여 있더라구요. 물어볼라다 뜨끔하여 묻지 못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