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산(淸凉山)
1. 산이름 : 청량산(淸凉山)
2. 소재지 : 경북 봉화, 안동
3. 높 이 : △869.7m
4. 소 개
◆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 선정사유 : 산세는 크지 않으나 연이어 솟는 바위 봉우리와 기암절벽이 어우러져 예로부터 소금강으로 꼽힐 만큼 산세가 수려하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82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원효대사가 창건한 유리보전, 신라시대의외청량사, 최치원의 유적지인 고운대와 독서당,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은신한 오마대(五馬臺)와 청량산성, 김생이 글씨를 공부하던 김생굴, 퇴계 이황이 수도하며 성리학을 집대성한 오산당(청량정사) 등 역사적 유적지로 유명
5. 대중교통
◆ 봉화방면 : http://culture.bonghwa.go.kr/open.content/ko/tour.guidance/transport.way/public.transport/bus/
☞ 봉화터미널발 북곡/청량산행 이용 종점 하차
* 06:20, 09:20, 13:30, 17:40(북곡/청량산행)
☞ 안동역 서편 정류장(교보생명 앞)에서 출발하는 청량산행(67번) 이용 종점 하차
* 05:50(06:50), 08:50(10:20), 11:50(12:50), 14:50(16:20), 17:50(18:40)
6. 관련사이트
◆ 청량산도립공원: http://mt.bonghwa.go.kr/open.content/ko/
◆ 한반도의산하 : http://no1san.com.ne.kr/Myeongsan/Gongwon/Cheongryang/Main.htm
◆ 한국의산천 : http://www.koreasan.com/san-search/san_view_form.php?num=98&p=1&mode=1&keytext=청량산&flag_head=http://www.koreasan.com/san-search/san_view_form.php?num=1711&p=1&mode=1&keytext=청량산&flag_head=
7. 산행일지
산행일자 | 산행코스 | 거리 | 시간 | 비고 | |
88/10/13 | 입석~청량사~자소봉~입석 | ||||
92/09/30 | 입석~청량사~자소봉~경일봉~입석 | ||||
07/04/27 | 입석~경일봉~자소봉~연적봉~장인봉~청량폭포 | ||||
07/10/05 | 청량폭포~전망대~장인봉~경일봉~김생굴~응진전~입석~청량폭포 | 9.1 | 05:15 | ||
08/05/18 | 선학정~병풍바위~전망대~장인봉~자소봉~김생굴~청량사~선학정 | 04:38 | 4명 | ||
08/06/29 | 청량폭포~전망대~장인봉~뒷실고개~청량사~선학정~청량폭포 | 5.4 | 02:45 | 5명 | |
09/03/28 | 버스정류장~전망대~자소봉~오마도터널~두리봉~축융봉~버스정류장 | 06:40 | 2명 | ||
10/10/30 | 버스정류장~장인봉~자소봉~경일봉~입석~산성입구~산성~축융봉~버스정류장 | 06:01 | 1명 | ||
11/03/01 | 입석~청량사~자소봉~하늘다리~장인봉~전망대~병풍바위~선학정 | 04:50 | 5명 |
8. 산행사진
▲ 청량산 최고봉 장인봉 정상표지석
▲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낙동강과 국도
▲ 하늘다리 부근의 바위군.
▲ 청량사 앞에 우뚝솟아 있는 연화봉과 향로봉. 청량사 바로 앞에 보이는 봉이 연화봉.
▲ 하늘다리와 뒷편의 장인봉.
▲ 좌로부터 향로봉, 자란봉, 선학봉, 장인봉.
▲ 탁필봉. 연적봉에서 내려다 본 모습입니다.
▲ 자소봉. 예전에 보살봉이라고 불리웠던 봉입니다.
▲ 청량사와 연화봉, 향로봉, 장인봉
▲ 경일봉에서 하산하다 잡은 금탑봉. 금탑봉은 응진전 바로 뒤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량사 우측 편에 자리잡고 있음.
▲ 금탑봉에서 내려다 본 청량사.
▲ 좌측 우람한 봉우리가 연화봉,
▲ 금탑봉 아래 자리잡은 응진전.
▲ 응진전과 금탑봉의 모습.
▲ 건너편 축용봉으로 오르다 본 청량산.
▲ 금탑봉 아래 위치한 응진전, 그 좌측이 청량사
▲ 좌측이 장인봉, 선학봉(좌)과 자란봉(우)를 연결한 하늘다리.
▲ 모든 시선을 청량산 11봉우리가 차지하고 있지만 11봉우리를 건너다 보는 유일한 봉우리 축용봉에서 건너다 본 청량산이 더욱 아름답습니다.
▲ 청량산 입구의 인공폭포. 겨울이면 장관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