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구례 백운산(白雲山) 산행
1. 산행일자 : 2011. 04. 09.(토)
2. 산행장소 : 백운산(白雲山, 1,216.6m)
3. 소 재 지 : 전남 구례, 광양
4. 참석인원 : 안동중앙새마을금고회원 22명
5. 산행거리 : 약 9.1㎞ (05:00 소요)
6. 산행로 및 상세 시각
용소(용문사/백운사 입구)~백운사~상백운암~백운산~신선태~진틀입구
주요 지점 | 거리 | 도착 | 출발 | 소요 시간 |
휴식 | 비 고 | |
백운사/용문사 입구 | 10:08 | 백운사 5.0 | |||||
백운사 | 2.8 | 11:06 | 11:21 | 00:58 | 00:15 | ||
갈림길(이정목) | 0.5 | 11:38 | 00:17 | 백운산 2.2 | |||
하백운암 | 0.9 | 12:00 | 00:22 | 백운사 0.5, 백운암 0.9, 백운산 1.7 | |||
갈림길(이정목) | 0.2 | 12:05 | 00:05 | 백운사 1.0, 백운암 0.2, 백운산 1.2 | |||
능선 갈림길(헬기장) | 0.2 | 12:07 | 00:02 | 백운사 1.0, 백운산 1.0, 억불봉 4.9 | |||
백운산 | 1.0 | 12:34 | 12:41 | 00:27 | 00:07 | 신선대 0.5, 진틀 3.3, 억불봉 5.9, 매봉 3.6, 관동 10.7 | |
이정목(중식) | 0.2 | 12:47 | 13:40 | 00:06 | 00:53 | 백운산 0.2, 진틀 3.4 | |
신선대 | 13:50 | 13:55 | 00:10 | 00:05 | |||
신선대 갈림길 | 0.3 | 14:01 | 00:06 | 백운산 0.5, 진틀 3.0, 한재 2.1 | |||
진틀삼거리(이정목) | 1.2 | 14:30 | 00:29 | 백운산 1.4, 신선대 1.2, 진틀 1.9 | |||
병암산장 | 1.2 | 14:55 | 00:25 | 백운산 2.7, 진틀 0.6 | |||
진틀입구 | 0.6 | 15:07 | 00:12 | 백운산 3.3, 논실 0.8, 한재 3.1 | |||
합 계 | 9.1 | 03:39 | 01:20 | 04:59 |
7. 교통
노선 | 광양 | 추산 | 동곡 | 진틀 | 논실 | 광양농협 | 광양 | |
21-1 | 05:30 | 05:50 | 06:20 | 06:30 | ||||
21-3 | 06:20 | 07:00 | 07:30 | 07:40 | ||||
21-2 | 07:00 | 07:35 | 08:00 | 08:00 | ||||
21-2 | 07:30 | 08:10 | 08:30 | 08:40 | ||||
21-2 | 09:00 | 09:40 | 10:05 | 10:10 | ||||
21-3 | 09:40 | 10:30 | 11:00 | 11:00 | ||||
21-2 | 11:00 | 11:40 | 12:05 | 12:20 | ||||
21-2 | 11:40 | 12:20 | 12:50 | 13:00 | ||||
21-3 | 13:00 | 13:50 | 14:30 | 14:40 | ||||
21-2 | 13:40 | 14:20 | 14:40 | 15:00 | ||||
21-2 | 15:00 | 15:40 | 16:00 | 16:20 | ||||
21-2 | 15:40 | 16:20 | 16:50 | 17:00 | ||||
21-2 | 17:00 | 17:40 | 18:05 | 18:20 | ||||
21-3 | 17:40 | 18:30 | 18:55 | 19:10 | ||||
21-2 | 18:20 | 19:00 | 19:30 | 19:40 | ||||
21-2 | 19:40 | 20:20 | 20:40 | 20:50 | ||||
21-2 | 21:00 | 21:20 | 21:40 | 21:50 | ||||
21-2 | 21:40 | 22:00 | 직 | 22:20 |
※ 광양교통 061-762-7295
8. 산행지도
http://cafe.daum.net/K.San?t__nil_cafemy=item
광양시청(http://www.gwangyang.go.kr/images/etc/mountainMap.html)
9. 산행사진
▲ 백운산 들머리로 백운산 안내도에 3코스로 소개된 용소(용문사, 백운사 입구)를 택하였다.
▲ 용소 입구에 설치된 안내도에는 용소~백운사~백운산 코스가 없다.
▲ 진달래의 향연. 백운사로 오르는 길에서 살짝 이탈하여 만끽한 참꽃 내음이다.
▲ 백운사 불사공덕비. 백운사로 오르기 위해 계곡을 세번 넘다들어야 하는데 첫번째 넘기 직전에 있다. 입구에서 약 30분 정도 소요.
▲ 며칠 전에 내린 비로 계곡에 비교적 많은 물이 흐르고 있다.
▲ 백운사. 입구에서 약 1시간 정도 소요.
▲ 2년 전에 왔을 때는 조용한 절이었는데 지금은 보수중인가 보다.
▲ 백운사 뒷편의 산령각. 산령각 뒷편의 바위 사이에 소생하고 있는 소나무가 인상적이었다.
▲ 산령각에서 내려오는 길에 담은 백운사 뒷모습.
▲ 백운사 좌측 편으로 나 있는 백운산 산행로.
▲ 백운사에서 정상까지 2,2㎞. 신속히 오른다면 1시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생각되나 일행들이 연로하신 분들이 많아......
▲ 백운사에서 약 0.5㎞ 정도 오르면 상백운암으로 오르는 길과 정상으로 직등하는 갈림길이 나온다. 직등로는 볼 것이 별로 없을 것 같아 조금 돌아가지만 상백운암 방향으로 오르는 길을 택한다. 정면에서 보면 기이한데 옆에서 찍은 관계로 별로 이상해 뵈질 않는다.
▲ 전망대 역활을 하는 바위지대.
▲ 용소에서 백운사로 올라오는 길이 중앙에 보인다.
▲ 전망대에서 본 도솔봉.
▲ 좌측 큰 동네가 옥룡면 소재지인 것 같다. 백계산의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다.
▲ 상백운암. 절 같지 않고 농가의 풍경을 자아낸다.
▲ 상백운암을 좌로 돌아 물이 흐르는 곳을 만나 우측으로 살짝 오르면 약수터를 만난다. 하지만 지렁이의 사체도 보이고 물이 별로 청정해 보이질 않아 마시지 못하였다.
▲ 상백운암을 오르니 갈렸졌던 길이 다시금 합쳐진다.
▲ 위 이정목에서 약 200m 정도 마지막 오르막을 오르면 억불봉과 백운산 정상으로 나뉘는 헬기장이다.
▲ 헬기장에서 줌을 당겨 본 백운산 정상(우)과 신선대(좌)
▲ 백운산 정상부.
▲ 정상부 이정목.
▲ 좌측에 뾰족한 봉우리가 억불봉이다.
▲ 매봉 방향.
▲ 정상표지석.
▲ 신선대, 따리봉, 도솔봉(좌) 능선.
▲ 모자를 닮아 당겨 보았다. 이름이 없는 바위일까? 없으면 모자바위(전투모바위)라고 하면 될 것 같은데....
▲ 점심을 먹고나서 다시 올라와 가까이서 담아보았다.
▲ 신선대에서 본 백운산 능선.
▲ 신선대 하단에 설치된 이정목.
▲ 진틀에서 올라오다 신선대로 오르는 길과 백운산 우측으로 오르는 길이 갈라지는 길이다.
▲ 병암산장에 전시되어 있는 산악회 리본.
▲ 지도상에 병암폭포로 기재된 곳인 것 같다.
▲ 진틀 입구의 이정목.
▲ 진틀 입구의 모습. 소나무의 사투리 "소낭구"가 정겹게 느껴진다.
▲ 산행을 마무리하고 찌든 땀을 씻어내는 즐거운 시간이다. 산행을 무사히 마치고 난 후라 산행대장의 흐뭇한 미소가 정겹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