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사진

광덕산(廣德山)~산성산(山城山)~강천산(剛泉山) 산행

청사초롱(안동) 2010. 6. 7. 11:23

1. 산행일자 : 2010.  06.  06.(일)

2. 산행장소 : 광덕산(廣德山, 578.0m, X564), 산성산(山城山, 603.0m, X526), 강천산(剛泉山, 583.7m)

3. 소 재 지  : 광덕산, 산성산, 강천산(전북 순창, 전남 담양)

4. 참석인원 : 안동청심산악회원 중 5명(맑은청산, 산타, 은가비, , 청사초롱, 특공대) 

5. 산행거리 : 약 ?㎞ (05:35 소요) 

6. 산행로 및 상세 시각    

    강천산 주차장~삼인대~황우제골삼거리~신선봉~광덕산~산성산~북문~강천산~현수교~강천산 주차장

주요 지점

거리

도착

출발

소요
시간

휴식

    

 강천산 주차장    

10:15

     
 병풍바위  

10:21

 

00:06

   
 강천사 일주문  

10:37

 

00:16

   
 삼인대(갈림길)

 1.63

10:40

 

00:03

   구장군폭포 0.95
 황우제골 삼거리

 0.55

10:48

 

00:08

   강천사 0.55, 전망대 0.47
 전망대 고개

 0.31

10:56

11:01

00:08

00:05

 강천사 0.86, 전망대 0.16
 신선봉 고개

0.12

11:02

 

00:01

   강천사 0.98, 광덕산 1.08
 신선봉  

0.43

11:11

11:13

00:09

00:02

 강천사1.58,광덕산0.65,옥호봉2.4
 광덕산

0.65

11:28

11:33

00:15

00:05

 
 헬기장

 0.45

11:41

 

00:08

   광덕산 0.45, 송낙바위 3.24
 철계단  

12:10

 

00:29

   
 시루봉  

12:20

12:30

00:10

00:10

 시루봉0.5,남문1.5,북문1.6
 동문(중식)  

12:36

13:05

00:06

00:29

 
 운대봉 이정목  

13:12

 

00:07

   북문1.2,광덕산2.7,장군폭포1.73
 강천저수지 갈림길  

13:30

 

00:18

   북문0.3,형제봉삼거리3.3,운대봉0.4
 북문

3.24

13:37

13:40

00:07

00:03

 동문 1.6, 보국사터 1.0,서문0.6
 형제봉 삼거리

3.28

14:16

14:24

00:36

00:08

 왕자봉 0.99, 송낙바위 3.28
 왕자봉 삼거리

0.78

14:34

 

00:10

   형제삼0.78,왕자봉0.2,깃대봉1.39
 왕자봉

0.20

14:38

14:47

00:04

00:09

 현수교 1.0
 현수교

1.00

15:07

15:12

00:20

00:05

 사무소2.08,전망대0.61,왕자봉1.0
 강천산 주차장

1.86

15:50

 

00:38

   

    

14.5

 

 

04:19

01:16

 05:35

 

7. 교통()

    -  순창에서 군내버스(07:00~18:50, 13회), 직행버스(09:50~18:20, 12회)가 있으며, 광주에서 강천사(산)행이 1일 10회 운행된다.

        광주 - 강천사 : 08:10, 08:50, 09:50, 10:30, 11:25, 13:30, 14:10, 14:50, 15:30, 16:10

   

8. 산행지도

   - 우리의 산하(http://cafe.daum.net/K.San?t__nil_cafemy=item)

     

      

9. 산행사진

    - 

 

▲ 호남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강천산. 오늘도 많은 산악회에서 찾아 온 듯합니다. 

 

▲ 이곳이 강천산 계곡 입구의 모습입니다. 상가를 벗어나면 수림이 우거진 계곡이 반기게 됩니다. 

 

 

▲ 병풍폭포의 모습. 병풍폭포를 지나면 우측으로 깃대봉 오르는 갈림길 안내표지판이 나옵니다. 

 

 

▲ 강천사 일주문. 

 

▲ 강천사의 일부 전경. 

 

 

▲ 삼인대(三人臺). 황우제골로 가기 위해서는 여기서 좌측으로 건너야 한다. 

 

▲ 황우제골 삼거리. 

 

▲ 황우제골에서 전망대 방향으로 오르는 길은 가파른 경사라 자연히 호흡이 거칠어진다. 

 

▲ 전망대 고개로 알려져 있는 곳이다. 여기서 전망대는 오른쪽으로, 광덕산은 안내도 옆으로 난 길을 따르면 된다. 

 

▲ 신선봉을 지나면 곧추 조망지가 나타난다. 이곳을 모르면 다들 신선봉 정상에서 휴식을 취한다. 쉬더라도 전망이 좋은 곳에서 쉬어가면 더 좋지 않을까?  

 

▲ 광덕산으로 오르기 위해서는 신선봉에서 약 300m 정도 내려갔다가 나무계단을 다시금 300m 정도 올라야 한다. 이곳은 광덕산 정상 9부 능선 쯤 산행로에서 빗겨난 곳에서 찍은 사진이다. 

 

▲ 광덕산 정상부.

 

▲ 가야할 산성산. 국토지리정보원 지형도에 의하면 산성산의 정상은 시루봉(X526, 525.5m)으로 표기되어 있고 운대봉(북바위)을 지나 산성을 걷다 보면 삼각점을 만나게 된다. 이곳이 국지원 지도에 삼각점으로 표시된 해발 586.4m 지점이다. 일부 지도의 산성산 높이가 603m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되는데 아마 우측의 최고점 지대를 산성산으로 보는 것 같다. 왼쪽의 바위봉이 시루봉이고, 중간부분 첫번째 돌출된 바위가 운대봉(북바위)이다. 삼각점은 운대봉과 최고점 사이의 밋밋한 지형에 설치되어 있다.

 

▲ 헬기장에서 올려다 본 시루봉. 촛점을 당겨 찍어서 그렇지 실제로는 멀게 보인다. 

 

▲ 한창 임도를 개설하는 곳이라 곳곳이 파헤쳐저 있다. 임도 뒤가 광덕산(약 450m). 

 

▲ 좌측이 장군봉, 우측이 시루봉. 

 

▲ 시루봉 직전의 철계단. 이곳에 오르면 비교적 조망이 좋은 바위지대가 나타난다. 

 

▲ 시루봉 오르는 길.  

 

▲ 시루봉에서는 광덕산과 걸어온 능선이 한 눈에 펼쳐진다. 

 

▲ 정면으로 보이는 곳이 강천산. 

 

▲ 시루봉 뒷편으로 산성이 보이고 아마 저 산성을 따르면 서문이 나타날 모양이다. 

 

▲ 시루봉에서 본 장군봉. 

 

▲ 시루봉 하산길에 올려다 본 산성산 주능선. 아래에서 첫번째 바위가 북바위로 알려져 있는 운대봉이다.  

 

▲ 뒤돌아 본 시루봉. 

 

▲ 지도상 동문으로 표기된 곳이 이곳이다. 

 

▲ 가야할 왕자봉(강천산)은 아직도 멀기만하다. 

 

▲ 북바위(운대봉)이 이제 코 앞에 놓여 있다. 

 

 

▲ 북바위. 

 

▲ 북문으로 향하기 위해서는 왼쪽으로 돌아야 한다.  

 

▲ 뒤에서 본 운대봉의 모습. 

 

▲ 좌측 운대봉과 우측 시루봉.

 

 

▲ 산성 산행로에 설치되어 있는 삼각점. 해발 586.4m. 

 

 ▲ 북문 이정목. 강천산으로 가기 위해서는 좌측 돌담이 갈라진 곳으로 내려서면 된다.

 

▲ 담양호가 발아래 아련히 펼쳐져 있다. 

 

▲ 북문의 산성 모습. 송낙바위가 이 근처에 있겠지만 4시까지 하산하여야 하는 관계로 시간이 없어 찾지 못하고 그냥 지나친다.

 

 

▲ 강천산 정상 왕자봉. 광덕산과 동일한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 왕자봉에서 현수교 방향으로 내려오다 본 광덕산 산행로와 현수교. 

 

▲ 반대편 능선에 시루봉과 운대봉이 보인다. 

 

▲ 강천산의 명물 현수교. 

 

▲ 현수교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다. 

 

▲ 이곳 강천산의 현수교와 봉화 청량산의 하늘다리를 비교하면 기술의 발전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이곳은 폭이 너무 좋아 신체접촉을 안 할수 없게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