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사진

광덕산(廣德山)~망경산(望京山) 산행

청사초롱(안동) 2009. 11. 16. 11:46

1. 산행일자 : 2009.  11.  14.(토)

2. 산행장소 : 광덕산(廣德山, 699.3m), 망경산(望京山, 600.1m)

3. 소 재 지  : 충남 아산, 천안.

4. 참석인원 : 청사초롱

5. 산행거리 : 약 9㎞ (04:25 소요) 

6. 산행로 및 상세 시각    

    광덕사 주차장~광덕사~광덕산~장군바위~장고개~망경산~장고개~부용의묘~광덕산주차장

주요 지점

거리

도착

출발

소요
시간

휴식

    

 광덕사 주차장

 

 

09:25

 

 

 

 광덕사

0.39

09:29

09:32

00:04

00:03

 

 팔각정

0.85

09:48

09:58

00:16

00:10

 정상 1.3, 주차장 1.5

 안내표지판(헬기장)

 

10:12

 

00:14

 

 정상 0.6, 주차장 2.3

 광덕산

0.87

10:28

10:32

00:16

00:04

 장군바위 1.3, 헬기장 0.6

 장군바위

0.96

10:50

 

00:18

 

 정상 1.3, 주차장 3.0

 갈림길(강당골)

 

11:00

 

00:10

 

 강당골 2.9, 장군바위 0.7

 장고개

1.70

11:20

 

00:20

 

 장군바위 1.7, 강당사휴게소 3.7

 망경산

 

11:43

11:48

00:23

00:05

 장고개 1.1, 수철저수지 2.35

 장고개

1.10

12:11

 

00:23

 

 

 부용묘 갈림길

1.70

12:42

 

00:31

 

 

 부용묘   

 

13:23

13:25

00:41

00:02

 

 광덕사

0.58

13:33

13:43

00:08

00:10

 

 광덕사 주차장

0.39

13:50

 

00:07

 

 

    

8.5

 

 

03:51

00:34

 04:25

    ※ 이정거리는 등산안내도(도엽상 거리로 추정) 및 아산시청, 아산소방서에서 세운 119구조표지판 참조

    ※ 표지판은 주차장~광덕산(2.8)~장군바위(1.3)

    ※ 웨얼이즈(Where is) 지도에는 주차장~광덕산(2.7)~장군바위(1.4)~장고개(2.1)~망경산(1.3), 장군바위~부용묘~주차장(3.5)로 표기 되어 있음(이 거리가 실제 거리와 비슷함). 웨얼이즈에 의하면 주차장~광덕산~장군바위~장고개~망경산~장군바위~부용묘~주차장의 거리는 14.7㎞임.

 

7. 교통          

    - 광덕사 방면(천안시청)

      천안터미널에서 600(25회). 601번(4회) 수시 운행

  

    - 강당골 방면(아산시청)

아산(120번)

생활관(용화동)
⇒ 강당골(종점)

강당골(종점)
⇒ 생활관(용화동)

08:00

06:50

10:00

09:00

12:00

11:00

13:00

13:00

15:00

14:00

16:00

16:00

17:20

17:00

19:20

18:20

  

20:20

 

8. 산행사진                             

    - 천안(天安)은 하늘 아래 제일 편안한 고장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지명의 유래는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평정할 때 이곳 주민들이 왕건을 환영했던 까닭에 천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한 곳이란 뜻으로 얻게 되었다고 한다. 108산사 39번째 순례지인 천안 광덕산과 광덕사를 둘러보았다.

 

▲ 광덕사 주차장의 산행안내도. 

 

▲ 광덕사 일주문. 일주문 현판에 태화산(泰華山) 광덕사라고 되어 있네요. 연유는 광덕산이 태화산을 모산으로 하고 있기에 이렇게 불리우고 있답니다. 

 

▲ 일주문 옆에 세워진 119구조 안내표지판. 천안 시민의 산임을 알 수 있습니다. 

 

▲ 광덕사의 연혁. 

 

▲ 108산사 순례 기도회 방문이란 플랙카드가 붙어 있는 곳이 광덕사. 

 

▲ 불자님들은 우측 극락교를 건너 광덕사로, 산객들은 좌측 등산로라고 적혀 있는 바위 사이 길로.....

 

▲ 산행 들머리의 단풍나무. 아직 단풍이 많이 남아 있네요(요곳만). 

 

▲ 광덕사에서 약 1㎞ 정도 오르면 좌측 해사동에서 올라오는 길과 마주치는 삼거리(팔각정 있음). 이곳에 산악인의 선서 표석이 듬직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곳에서 스틱을 준비하려고 하였으나 스틱이 갑작스레 말을 듣지 않아 10여 분간 씨름하다 다시금 배낭에 꽂고 광덕산으로 출발. 

 

▲ 삼거리에서 정상 1.3㎞. 등산안내도에는 0.87㎞ 라고 되어 있어 헷갈립니다. 등산안내도 거리는 도엽상 거리인 것 같습니다. 

 

▲ 팔각정에서 거친 숨을 몰아쉬며 오르다 이곳 헬기장에 도착하면 쉬고 가라고 의자도 설치되어 있답니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광덕산 이제 코 앞에 있습니다. 

 

▲ 광덕산 정상표지석. 쉬엄 쉬엄 2.8㎞를 1시간 걸려 올라왔습니다.  

 

▲ 가야 할 장군바위가 1.3㎞(안내도 0.96㎞).  

 

▲ 천안시민들의 쉼터인 탓인지 이곳 정상에 막걸리 주막이 있습니다. 주모(酒母)가 아닌 酒夫가 장사를 하고 있ㅇ네요. 헌데 제발 이런 것 산에 없으면 정말 좋을 것 같은데....  

 

 

 

▲ 장군바위 안패표지판. 누가 이런 낙서를.... 

 

▲ 장군바위 갈림길에 설치되어 있는 이정표지판. 

 

▲ 장군바위의 실체. 장군처럼 생겼는감? 

 

▲ 장군바위에서 약 100m미터 망경산 방향으로 오르면 부용묘가 갈리는 갈림길이 나옵니다. 오늘 목적지가 망경산까지 갔다 다시금 광덕사 주차장으로 내려가야 하기에 이곳으로 다시 돌아와야 합니다. 

 

▲ 부용묘 갈림길을 지나니 호젓한 산길이 맞이합니다. 망경산까지 가는 길은 사람들이 자주 다니지 않는지 낙옆이 뒤덮여 있어 가뜩이나 왼발목이 좋지 않은 저로서는 발을 질질 끌며 갔습니다. 혹 돌을 밟아 발목 접리를 까봐서.... ㅋ  

 

▲ 강당골 버스정류장으로 내려가는 갈림길. 이정목 방향이 가르키는 망경산 방향으로 go~~ go~~ 

 

▲ 강당골 갈림길에서 봉 하나를 넘자 우측 참나무 가지 사이로 봉우리 하나가 눈에 들어옵니다. 거리상으로 저 산이 망경산일 듯. 

 

▲ 작은 봉 하나를 넘어 약간의 내리막 길에 위치하고 있는 장고개. 이곳부터는 이정표지판이 없는 대신 아산시청과 아산소방서에서 세운 119구조 표지판에 이정거리가 표시되어 있어 이것을 참고하였답니다. 

 

▲ 망경산으로 가기 위해서는 능선에서 우회전(90도)하여 내리막 길로 내려가야 합니다.

 

▲ 장고개 모습. 

 

▲ 망경산 정상에서 아산 방향. 어제 비가 내린 탓과 햇살이 비추지 않은 탓에 조망은 별로 였답니다. 

 

▲ 망경산 정상부의 모습. 이곳에도 막걸리 장수가..... 

 

▲ 주인이 막걸리 장수일까?  

 

▲ 장고개로 뒤돌아와 광덕산 방향으로 가던 중 올려다 본 광덕산. 광덕산 주봉은 우측 뒤에 숨은 봉인 것 같네요. 좌측봉에 올라서면 부용묘로 내려서게 됩니다.  

 

▲ 부영묘로 내려가다 망경산(우측)을 잡은 모습. 장고개는 중앙 봉우리 부근입니다. 

 

▲ 부용묘로 내려서다 다시금 또 한번의 갈림길. 충남문화재자료 253호가 보고 싶었지만 부용묘를 더 보고 싶은 마음에 부용묘 방향으로 또 턴 합니다.  

 

▲ 좌측 길이 제가 내려온 산행로. 우측 돌계단이 부용묘 오르는 길입니다. 부용묘는 이곳에서 약 100m 거리. 

 

 

▲ 비석에는 "시인 운초 김부용지묘" 라고 적혀 있네요. 

 

▲ 김부용의 시 자화상인 듯. 

 

▲ 잎사귀가 무거워 모두 떨구어버린 나무들이 이제 늦가을이 깊어 감을 알리고..... 

 

▲ 재미있는 산행안내도 입니다. 

 

▲ 108산사 순례 행사가 있는 광덕사에는 많은 불자님들이 탑돌이를 하고 있네요. 

 

 

 

▲ 늘어선 불자님들의 행렬. 광덕사로 가 보고 깊었지만 불자님들이 가로막아 그냥 내려왔습니다.  

 

 

 

▲ 자신의 이름과 같은 꽃을 대상으로 지은 시. 자기 자랑하는 것 같기도 하고.. ㅋ 

 

▲ 광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