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산(兀山) 산행 (72-1)
1. 산행일자 : 2007. 10. 13. (토)
2. 산행장소 : 올산(兀山, 858.2m)
3. 참석인원 : 마운틴님 부부, 청사초롱
4. 산행거리 : ? (약 4:50 소요)
5. 산행사진
- 올산은 충북 단양군 대강면 올산리 북쪽에 자리한 산이다. 산 이름처럼 구비구비 산중 한 가운데 우뚝 솟은 산으로, 자연식물의 보고이며 겨울에 피어나는 설화는 이국적인 풍치를 자아내 산행에 나선 이들을 설래게 한다. 능선에 쌓인 눈길을 밟고 오르는 겨울산행은 온몸이 얼어붙을 듯한 추위를 참아내야 하지만, 정상에 올라 바라보는 절경은 그 모든 과정을 잊게 만든다. 이처럼 올산의 경치가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산이 깊고 수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 산에는 자연식물이 풍부하다보니 산채와 약초를 캐며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 철따라 그 약초의 종류도 수십종에 이르러 일반인들은 이름조차도 기억하지 못할 만큼 다양한 종의 식물이 피어난다.
올산에는 떡바위·산부인과바위·무지개바위 등의 바위 봉우리가 많고, 산나물과 약초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 산행은 올산리~채석장터~올산~719봉~산부인과바위~미노리의 종주코스와 미노리~사방댐기념비(우측길)~산부인과바위~719봉~올산~미노리로 원점회귀형 2코스가 있다. 산행 시간은 약 5시간 정도 걸린다.
▲ 미노리 시내버스정류장 앞 서울가든 옆 공터에 차를 파킹하고 올산을 쳐다보니 젤 먼저 두꺼비(바위)가 강건거 산위에서 반갑게 인사하네요. ^&^ 안녕 두꺼바
▲ 미노교 건너 바로 우측 시멘트 포장도로로 방향을 틀면 이곳이 산행의 들, 날머리(원점회귀)
▲ 미노교에서 약 5분거리에 있는 두꺼비 바위 - 가까이서 보니 엉첨 큰 두꺼비네요.
▲ 이 사방댐 기념비에서 시멘트 포장도로를 이탈 우측으로 방향을 틀면 산부인과바위 방향으로 오름.
- 이 사방댐은 2000년 단양지역에 쏟아지 엄청난 폭우로 이 지역이 폐허가 되었을 때 계곡을 정비하며 만든 사방댐인 것으로 생각됨.
▲ 곳곳을 이렇게 돌로써 막아 수방시설을 해 놓았네요.
▲ 좀 전에 보았던 기념비가 이 사방댐을 만들어서 세운 것임. 물이 없어 앙상한 바닥만 보이나 건너기엔 좋네요.
▲ 좌측이 719봉 중앙에 위치한 두개의 바위중 좌측 산부인과바위, 우측 떡바위.
▲ 우측의 719봉에서 중앙의 능선을 따라 좌측으로 오르면 올산 정상.
▲ 꼭 송이같이 생긴 바위네요. 산세로 보아 송이가 날 듯한 산인데... 아니다다를까 젊은 부부가 비닐봉지에 버섯을 한 봉지 따가지고 올라오네요.
▲ 건너편에 보이는 산이 황정산. 황정산 좌측으로 계속 오르면 수리봉과 선미봉이 나오고 방곡도예촌으로 하산할 수 있으며, 방곡도예촌 조금 아래에서 문안골로 황장산을 오를 수 있지요. 황정산 아래에 위하고 있는 절은 대흥사.
▲ 마운틴님 부부. 뭘 저리 쳐다보고 있는지. 오늘 첨 함께 산행을 해서 그런지 넘 즐거워 보이네요.
▲ 산부인과바위. 이곳에서 정면으로 오르면 아니되고, 좌측 돌사이로 들어가면 됨. 배낭은 벗어야 통과할 수 있습니다.
▲ 산부인과바위 안쪽에서 찍은 모습.
▲ 719봉으로 오르다 뒤돌아 산부인과바위를 바라보며..
▲ 약 2시간 40분여 만에 만지게 된 올산 정상표지석. 충북의 정상석은 모두 한결같아 특별한 묘미가 없네요.
▲ 짝이 옆에 있으니 이 올마나 조은감. ㅋㅋ 자주 산에 같이 다니셈.
▲ 오늘은 혼자가 아니라서 멋드러지게 한판 찍어보네요.
※ 주의사항
정상에서 올산방향으로 내려가지 않고 원점회귀하려면 정상석에서 올산방향으로 약 20m 정도 내려가다 좌측 조그마한 소로길(리본 달려 있음)로 내려서면 미노리로 내려감.
▲ 오늘 우리팀을 미노리로 안내하고 있는 표지기.
▲ 채석장으로 내려오다 건너편 산부인과바위(좌측바위)와 떡바위를 바라본 모습.
- 하산길은 평이하여 특별히 추억에 남길만한 곳이 없네요. 히프바위가 있다는데 고건 놓쳐버렸네요.(열시미 찾았는데도 안경낀 눈이라 ㅎㅎ)
※ 올산행 시내버스시간표
시내버스 | |||
6:15 |
올산,남조 |
13:45 |
올산목장 |
8:05 |
사동,남조 |
15:20 |
남조 |
9:35 |
남조 |
16:30 |
사동,올산 |
11:30 |
남조 |
18:40 |
올산,남조 |
12:40 |
사동,남조 |
19:20 |
사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