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주요지점 |
계획 |
실제거리 및 소요시간 |
|||||
거리 |
시간 |
거리 |
시간 |
소요시간 |
휴식시간 |
|||
1 일 차 |
화엄사주차장 |
|
03:30 |
|
|
|
|
|
화엄사 | 1.7 |
04:00 |
|
02:07 |
|
|
|
|
연기암입구 | 2.0 |
|
2.0 |
02:37 |
02:42 |
00:30 |
00:05 |
|
참샘터 | 0.5 |
|
0.5 |
02:51 |
|
00:09 |
|
|
국수등 | 1.0 |
|
1.0 |
03:15 |
03:23 |
00:24 |
00:08 |
|
집선대 | 1.0 |
|
1.0 |
03:49 |
04:02 |
00:26 |
00:13 |
|
무넹기 | 1.2 |
|
1.2 |
04:38 |
|
00:36 |
|
|
노고단대피소(조식) | 0.7 |
07:30~08:00 |
0.7 |
04:53 |
05:31 |
00:15 |
00:38 |
|
노고단고개 | 0.4 |
|
0.4 |
05:41 |
|
00:10 |
|
|
돼지령 | 2.1 |
|
2.1 |
06:22 |
06:28 |
00:41 |
00:06 |
|
피아골갈림 |
|
|
0.7 |
06:38 |
|
00:10 |
|
|
임걸령 | 1.1 |
09:00 |
0.4 |
06:46 |
|
00:08 |
|
|
노루목 | 1.3 |
|
1.3 |
07:14 |
07:26 |
00:28 |
00:12 |
|
반야봉 |
|
|
1.0 |
07:57 |
08:00 |
00:31 |
00:03 |
|
삼도봉 | 1.0 |
|
1.3 |
08:35 |
08:41 |
00:35 |
00:06 |
|
화개재 | 0.8 |
10:00 |
0.8 |
08:58 |
|
00:17 |
|
|
토끼봉 |
|
|
1.2 |
09:31 |
09:48 |
00:33 |
00:17 |
|
연하천대피소 | 4.2 |
11:20~12:00 |
3.0 |
10:56 |
11:05 |
01:08 |
00:09 |
|
벽소령대피소(중식) | 3.6 |
13:10 |
3.6 |
12:28 |
13:30 |
01:23 |
01:02 |
|
표지목 |
|
|
1.7 |
14:08 |
14:14 |
00:38 |
00:06 |
|
119 지리 1-37 |
|
|
2.2 |
15:06 |
15:11 |
00:52 |
00:05 |
|
영신봉 |
|
16:00 |
1.8 |
16:04 |
|
00:53 |
|
|
세석대피소(석식) |
6.3 |
16:20 |
0.6 |
16:14 |
|
00:10 |
|
|
소계 |
28.9 |
12:50 |
28.5 |
14:07 |
|
10:57 |
03:10 |
|
2 일 차 |
세석대피소 |
|
04:00 |
|
02:26 |
|
|
|
촛대봉 |
|
|
0.7 |
02:40 |
|
00:14 |
|
|
연하봉 |
|
|
1.9 |
03:31 |
|
00:51 |
|
|
장터목대피소(조식) |
3.4 |
05:10 |
0.8 |
03:47 |
04:16 |
00:16 |
00:29 |
|
표지목 |
|
|
1.0 |
04:39 |
|
00:23 |
|
|
천왕봉 |
1.7 |
06:40~07:00 |
0.7 |
05:02 |
05:04 |
00:23 |
00:02 |
|
중봉 |
0.9 |
07:30 |
0.9 |
05:30 |
05:40 |
00:26 |
00:10 |
|
써리봉 |
|
|
1.3 |
06:12 |
06:15 |
00:32 |
00:03 |
|
치밭목대피소 |
3.1 |
08:50 |
1.8 |
06:53 |
07:04 |
00:38 |
00:11 |
|
무제치기폭포 |
|
|
|
07:25 |
07:40 |
00:21 |
00:15 |
|
용소골삼거리 |
|
|
1.8 |
07:57 |
|
00:17 |
|
|
표지목 |
|
|
1.8 |
08:33 |
08:41 |
00:36 |
00:08 |
|
유평마을(무릉도원) |
6.1 |
10:50 |
2.5 |
09:25 |
|
00:44 |
|
|
대원사 |
1.6 |
11:20 |
1.6 |
09:50 |
|
00:25 |
|
|
유평탐방지원센터 |
2.0 |
11:50 |
2.0 |
10:16 |
|
00:26 |
|
|
대원사 버스정류장 |
0.1 |
11:55 |
0.1 |
10:17 |
|
00:01 |
|
|
소계 |
18.9 |
07:55 |
18.9 |
07:51 |
|
06:33 |
01:18 |
|
합계 |
47.8 |
20:45 |
47.4 |
21:58 |
|
|
|
▲ 이번 일정은 안동에서 16일 19:20 열차를 타고 제천역에서 대전행으로, 조치원역에서 여수행 열차로 갈아타고 구례구역에 새벽에 도착하여 택시로 화엄사로 이동하여 세석대피소에서 1박하는 2박 3일간의 일정이다.
▲ 구례구역에 정시보다 약 2분여 늦게 도착하였고 내리는 사람은 우리 둘 말고 성삼재에서 시작하려는 한분 등 세명 만이 산객이었다.
▲ 구례구역에서 1인당 1만냥을 주니 이곳 화엄사까지 데려다 주신다. 화엄사 주차장에서 이곳까지 1.7㎞를 걷는 수고로움을 덜었다.
▲ 천왕봉 32.5㎞ 표지목의 거리가 질리게 만든다. 언제 저기를 간다냐? ㅋ 02:07 노고단을 향해 출발~~
▲ 화엄사를 출발하여 약 2.5㎞ 지점에 있는 참샘이다. 비오듯 흐르는 땀을 보충하기 위해 한잔 따라 마셔본다. 초반에 물을 많이 마시면 나중에 퍼지게 되므로 가급적 목을 축일 만큼의 물을 마셔야 한다.
▲ 화엄사를 출발한지 2시간 30분 만에 성삼재에서 올라오는 길과 마주치는 무넹기에 도착하였다. 예상보다 약 1시간 정도 시간 단축을 한 셈이다. 여기서부터 노고단대피소까지는 약 0.7㎞로 그리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다.
▲ 노고단 대피소에서 아침을 햇반과 라면으로 때운다. 하지만 여기서 먹은 라면이 산행도중에도 소화가 잘 되지 않아 가져간 라면을 세석에서 소주 마실 때 1봉을 끓여 먹고 나머지는 그대로 싸들고 내려왔다.
▲ 식사가 거의 끝나갈 무렵 구례에서 03:50분 버스를 타고 오신 산우들이 들이닥쳐 대피소 취사장이 사람들로 붐빈다.
▲ 노고단대시에서 0.4㎞를 오르면 노고단고개다. 2010년 산행 때에는 없었던 건물이 세워져 있다.
▲ 구례 화엄사 표지목에 32.5㎞라고 적혀 있는데 이곳에서 천왕봉까지 25.5㎞이다. 화엄사에서 노고단 고개까지 7.0㎞인데 실지 거리는 표지목을 합산해 본 바 6.8㎞이다. 즉, 화엄사에서 천왕봉까지의 거리는 32.3㎞인 셈이다.
▲ 돼지령에서 뒤돌아 본 노고단 방향의 모습. 6시가 되자 날이 밝아오고 사위는 엷은 안개가 메우고 있다.
▲ 2010년 성삼재~중산리를 걸을 때에는 가보지 못하였던 반야봉을 조망이 없지만 그래도 올라가 보련다. 이곳에서 노루목까지 1.0㎞이지만 반야봉을 거치면 2.3㎞, 즉 1.3㎞를 더 걸어야 한다.
▲ 반야봉 정상 부근에 있는 소나무의 모양이 요상하다. 비바람에 시달려 나무 모양이 저리 변하였나 보다.
▲ 반야봉에 드뎌 나의 발자취를 찍었다.
▲ 삼도봉 표지석. 우리나라에 삼도봉이 몇 곳 있기는 하다. 그러나 여기 삼도봉처럼 경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등 도를 따로 하는 곳이고, 백두대간상에 위치한 충청도/경상북도/전라북도를 경계로 하는 민주지산 옆의 삼도봉이 실질적인 삼도봉이라 할 수 있다.
▲ 화개재. 뱀사골이 갈리는 곳이다.
▲ 지리산 주능선의 나뭇잎이 붉게 물들 날도 멀지 않은 것 같다.
▲ 화개재에서 1.2㎞ 상에 위치하고 있는 토끼봉을 오르려는데 토끼가 잡힐듯 하면서 잡히지 않고 도망을 간다. 1.2㎞를 오르는데 약 30분이나 걸렸다. 이제 이곳을 내려가면 연하천대피소가 기다린다.
▲ 연하천 대피소. 이곳에서 대피소 입실시간이 6시 이후라는 사실을 알고 걸음 속도를 늦추기 시작했다. 예상대로 걷는다면 세시 전후가 될 것 같은데 세시간을 어떻게 떨고 있다냐? 연하천대피소에서 점심을 해결하려다가 아직 힘이 남아 있어 3.6㎞를 더 진행하여 벽소령에서 해결하기로 하고 발걸음을 다시금 옮기기 시작한다.
▲ 벽소령과 연하천은 3.6㎞로 가장 가까이 있는 대피소이다. 이곳에서 늦은 점심을 해결하는데 갑자기 천장에서 빗소리가 들린다. 밖을 내다보니 비가 내린다. 할 수 없이 비옷을 꺼내입고 배낭도 커버로 덮어 씌었다. 근디 출발하려는데 비가 다시금 그친다. 서둘러 비옷을 배낭에 쑤셔박고 우리의 보금자리가 될 세석대피소를 향해 출발
▲ 등산로 위에 말벌의 집인 노봉방이 매달려 있다. 날씨가 흐린 탓에 말벌들이 집안에 들어가 있는 탓인지 벌이 보이질 않는다.
▲ 능선을 비껴 반대쪽은 안개가 점령한 탓에 능선이 마치 반이 짤려 있는 듯하다.
▲ 드디어 영신봉이 보인다. 앞에 바위봉 좌로 우회하여 뒤의 영신봉을 우측으로 우회하여 오르면 영신봉이다.
▲ 드디어 세석대피소이다. 시간을 늦추느라 했는데도 계획한 시간에 비슷하게 도착하였다. 화엄사를 1시간 30분 정도 일찍 출발한 탓에 반야봉을 거쳐 왔음에도 계획된 시간보다 6분 빨리 도착하였다.
대피소에는 구례와 산청에서 올라온 고등학생 단체객들로 붐벼 마치 시골장터처럼 사람들로 북적인다. 취사장도 학생들이 점령하였고 바깥쪽 의자도 대부분 학생들이 점령하여 마치 우리는 패잔병처럼 한쪽 구석에서 햇반을 데워 소주를 곁들여 저녁식사를 마친 다음 5시 30경 대피소에 입실하여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다행히 선생님들이 주의를 준 탓인지 학생들이 조용히 해 준 덕에 숙면을 취할 수 있었다.
'★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산행사진 (0) | 2014.09.22 |
---|---|
지리산 화대종주(2일차) (0) | 2014.09.19 |
단양 황정산(黃庭山) 산행사진 (0) | 2014.09.15 |
보령/부여 만수산 산행사진 (0) | 2014.09.15 |
용마산(말뫼산)~북바위산 (0) | 2014.09.10 |